영어권에는 ‘어번 딕셔너리’이라는 것이 있다. ‘Urban Dictionary’라고 해서 말은 ‘도시 사전’이지만 젊은이의 비속어를 담아 놓은 해석 책이다. 한국도 요즘 영어가 넘쳐난다. 플렉스 뜻, 플러팅 뜻, 가스라이팅 뜻, 너드남 뜻, 그리고 이런 단어의 유래도 알아보자.
플렉스 뜻, 플렉스 유래
플렉스 뜻
플렉스는 순전히 영어이다. flex는 여러가지 뜻이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형용사 flexible(구부리기 쉬운, 유연한)처럼, 동사에서는 ‘관절 따위를 구부리다’ ‘준비운동으로 몸을 풀다’의 의미가 있다.
그러나 요즘 젊은이들은 플렉스 뜻을 이렇게 쓰지 않는다. 힙합 가사에 나오는 ‘과시하다(show off)’의 의미로 쓴다. 주로 돈 자랑, 부에 대한 자랑, 나아가 자신의 재능까지 포함된다.
인스타그램 등 소셜 미디어의 보급으로 인해 명품 시계, 명품 반지, 럭셔리 카 등을 구매한 뒤 사진을 올리거나 하는 행동이 모두 플렉스에 해당한다.
플렉스 유래
위에서 설명했듯 플렉스는 힙합에서 출발했다. 미국에서 흑인들이 힙합 가사에 플렉스를 쓰면서 이게 멋지다고 생각하는 젊은이들의 추앙을 받았다.
흑인 복서가 셀 수 없이 많은 지폐 위에서 나뒹굴면서 돈을 사방팔방에 집어 던지고, 이를 비키니 입은 몸매 좋은 여성들이 줍기 위해 달려드는 것, 그런 것들이 돈 자랑, 즉 플렉스이다.
영어에서도 마찬가지이고, 한국어에서도 같은 의미로 쓰인다. 물론 힙합 노래에서 들어온 것이라 진행방향은 영어권에서 한국이다.
영어 일상생활에서는 다음과 같은 예로 쓰인다.
- He was flexing his new car all over social media.(그는 새로운 차를 소셜 미디어에서 자랑하고 있었어.)
- She likes to flex her designer bags whenever she goes out. (그녀는 외출할 때마다 디자이너 가방을 자랑하기 좋아해.)
- I see you’re flexing that new watch! Looks expensive. (새 시계를 자랑하는구나! 비싸 보인다.)
플렉스 뜻이 이렇다 보니 한국인 대화에서도 종종 보인다. 밑의 유튜브 동영상은 플렉스의 세계를 소개한 것이다. 참고하시길 바란다.
플러팅 뜻, 플러팅 사용시 주의점
플러팅 뜻
이 단어는 순수 영어이다. flirt 뜻 그래도 한국에 들어온 단어이다. ‘남녀가 시시덕거리다’는 뜻이다. 따라서 동사+ing로 동명사가 된 플러팅 뜻은 ‘대놓고 시시덕거리는 행위’이다. 동사와 명사가 같은 스펠링이다.
플러팅 뜻에는 좋은 의미가 거의 없다. 그 행동 자체에 진지함을 담고 있지 않는다. 당연히 진정한 사랑도 담고 있지 않다.
실제로 예문을 들어보자. 플러팅에는 성적인 의미가 있을 수도 있고 그냥 사교적이란 의미가 있을 수 있다.
“He was flirting with her all night, making suggestive comments and touching her arm frequently.”(그는 밤새 그녀에게 암시적인 말을 하고 팔을 자주 만지면서 시시덕거렸다.”
플러팅 사용시 주의점
또다른 예문을 보자.
“She is just naturally flirty with everyone ; she loves to joke and compliment people.”(그녀는 그저 모두와 시시덕거리는 것을 좋아한다. 그저 사람들과 농담하고 그들을 칭찬하는 것이 좋다.)
이 문장에서 flirty는 사교적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분명히 flirty라는 단어는 안쓰는 게 좋다. 상대방에게 오해의 소지가 있다. “나를 평가하려 든다.” “나를 남자(혹은 여자)에게 환장한 사람으로 매도한다.” 등의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저런 뜻으로 쓰려면 그냥 sociable, friendly 등의 단어로 바꿔 쓰는 게 좋다.
플러팅 뜻을 이제 제대로 알았다면 함부로 쓰지 않기를 바란다. 진짜 시시덕거릴 때만 쓰자.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유래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뜻은 두가지이다.
첫번째 뜻은 문자 그대로 gaslight으로 가스로 밝혀진 등불이다. 전기가 보편화되지 않던 시절 가로등으로도 쓰였고, 집에서도 쓰였다.
가스라이팅 유래
두번째 가스라이팅 뜻은 누군가가 심리적으로 상대방을 지배하려는 행위를 말한다. 1938년 연극 ‘Gaslight’에서 한 남편이 아내 혼자 집에 남아 있을 때 가스등의 조도에 변화를 주면서 그녀 스스로 자신을 믿지 못하게 끔, 그리고 미쳤다고 느끼게 끔 조작하려고 했다.
이 연극은 1940년 영국에서 같은 이름으로 영화로 만들어졌다. 1944년에는 미국에서도 동명의 영화로 리메이크됐다.
이 세개의 작품의 줄거리와 결말을 엇비슷하다. 누가 상황에 따라 심리묘사를 더 집중했느냐 정도의 차이이다.
줄거리는 슬프되 결말은 해피 엔딩이다. 남편의 가스라이팅에 아내는 점차 자신이 미쳤다고 믿게 된다. 남편의 의도는 아내의 이모(또는 고모)의 귀중한 보석을 가로채기 위해서이다.
변곡점은 탐정의 개입이다. 탐정은 아내에게 남편의 의도를 설명해서 그녀가 정신을 차리게 만든다. 마침내 남편의 범죄행위가 밝혀지고 남편은 법의 처벌을 받게 된다. 그리고 아내는 남편의 조작에서 벗어나 자신을 되찾는 것으로 연극와 영화는 마무리된다.
가스라이팅 뜻을 알고 보면 참 잔인하고 사악한 방법이란 게 느껴진다. 이런 자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지는 날이 오길 기원한다.
너드남 뜻
너드남 뜻
너느남 뜻은 너드(nerd)라는 영어와 남자의 남이란 한문이 결합된 합성어이다.
너드는 우리 말로 하면 공부만 하는 모범생을 ‘범생이’라고 부르는 어감과 비슷하다. 또 특정 분야에 몰두에 사회성이 결여된 사람을 부르기도 한다. 속어로 ‘찐따’라고도 하지만, 이는 맞지 않아 보인다.
영어 사전의 너드는 과도하게 지적이며, 뭔가에 몰두하며, 내향적이며, 사교술이 부족한 사람을 의미한다. 저 모든 속성을 함께 갖고 있어야 너드인 셈이다.
너드에는 공부를 못하는 아이들의 시샘도 담겨 있다. 대개 공부 못하거나 스포츠만 잘하는 백인과 흑인들이 아시아인들을 놀릴 때 쓰는 차별적인 용어이기도 하다.
하지만 한국에서 너드남 뜻은 너드+남자까지 붙여 거의 속어로 ‘찐따’로 뜻이 변형된 듯 하다.
너드남 유래
영어권에서 너드 유래는 아이들 책으로 유명한 닥터 수스(Dr. Seuss)의 책에서 처음 나왔다.
1950년 발간한 ‘If I ran the zoo’에서 내레이터 제럴드 맥그루(Gerald McGrew)가 그의 가상의 동물원에 Nerkle, Nerd, Seersucker를 모으겠다고 주장한데서 나온다. 이 때만해도 nerd는 가상의 동물이었다.
너드는 곧바로 현재의 의미와 다르지 않는 슬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특히 하버드 대학의 유머 잡지 Harvard Lampoon에서 너드를 쓰면서 하버드 학생들에게 널리 퍼졌고, 하버드가 시작하니까 그게 아무리 해괴한 것이라 해도, 천박하게도 다른 모든 대학과 젊은이들이 따라하기 시작했다.
이상으로 플렉스 뜻, 플렉스 유래, 플러팅 뜻, 플러팅 사용시 주의점, 가스라이팅 뜻, 가스라이팅 유래, 너드남 뜻, 너드남 유래를 알아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