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세계적인 전기차 브랜드 테슬라의 사업 부진으로 요즘 전기차 관련주들이 좋지 않다. 이럴 때가 평상시 사두지 못했던 우량주를 살 기회가 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국내 납품업체), 즉 국내 테슬라 관련주, 또한 테슬라 수혜주도 알아보려고 한다.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국내 납품업체)-대기업
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테슬라 모델 Y와 모델 3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지난 8월 벤츠 전기차 폭발 사고후 공식확인된 것이다. 테슬라는 현재 LG에너지솔루션, 일본 파나소닉, 중국 CATL 배터리만 사용하고 있다.
삼성SDI도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가 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접촉 중이지만 아직 소식이 없다.
삼성전기
삼성전기가 2022년 6월 테슬라 전기트럭 등에 5조원 규모의 카메라 모듈을 오는 2027년까지 납품하기로 했다.
LG이노텍
삼성전기가 테슬라 전기트럭에 납품하기 전까지만해도 삼성전기 : LG이노텍의 테슬라 전기차 점유율은 2:8로 LG이노텍이 우세했다. 이제는 전세가 뒤집어진 것으로 보인다.
엘앤에프
엘앤에프는 2023년 2월 테슬라와 3조 8347억원 규모의 하이니켈 양극재 공급계약을 맺었다. 계약기간은 2024, 2025년 2년 간이다.
KT
텔레메틱스, 통신네트워크 시스템을 공급하고 있다. 테슬라와 커넥티드 카 서비스를 추진 중이다.
만도
조향장치를 공급했었다. 2016년 공급 당시만해도 자율주행차 파트너로 계약한 것처럼 일부 신문이 보도했지만 후속 보도가 없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2016년 테슬라 모델 3, 2020년 테슬라 전기트럭, 2022년 모델 3 18인치 모델 등에 자사 타이어를 납품했다.
LS엠트론(LS)
LS엠트론은 비상장 사이지만 LS의 100% 자회사이기 때문에 LS라고 봐도 무방하다. 2016년 파나소닉 배터리 용 전지용 동막을 공급했다. 이후 후속 보도는 없다.
LG디스플레이
2016년 테슬라 모델 3에 15인치 디스플레이를 납품한 뒤 꾸준히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 명단에 있는 듯하다.
한온시스템
전기차 열관리시스템 전체 설계부터 부품 공급까지 하는 세계 2위 기업이다. 2016년 테슬라에 열관리 시스템을 공급했다. 2019년에는 폭스바겐은 물론 테슬라에게도 전동컴프레서 공급 계약을 맺었다. 한국타이어 한국앤컴퍼니와 합병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국내 납품업체)-중소기업 1
코넥
코넥은 자동차 부품업체로서 알루미늄을 고압으로 주입하는 다이캐스팅 전문 업체이다. 테슬라에 동종 최초로 유일하게 납품하고 있다.
퓨런티어
퓨런티어는 삼성전기를 통해 자율주행용 센싱카메라 검사 장비를 납품했다. 모회사 하이비젼시스템도 이 때문에 테슬라 관련주로 이따금 움직인다. 하이비젼시스템이 지분 40.5%를 갖고 있다.
씨티알모빌리티(구 센트랄모텍)
씨티알모빌리티는 알루미늄 컨트롤 암을 독점공급한다. 씨티알모빌리티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컨트롤 암은 자동차 본체와 바퀴를 연결하는 부품인데 서스펜션 암이라도 부른다.
나인테크
LG에너지솔루션이 2024년 8월부터 테슬라에 4680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하는데, 나인테크는 LG화학 시절부터 장비를 독점공급해온 회사라는 이력 때문에 테슬라 관련주로 꼽힌다.
엠에스오토텍
지난 2016년 테슬라 모델 3 양산 시작 단계부터 핫스탬핑 부품을 전량공급해왔다. 2022년에도 모델 Y에 공급한다는 뉴스가 이어지고 있다.

테슬라 한국 협력업체(국내 납품업체)-중소기업 2
계양전기
계양전기 대표는 올해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테슬라 생산 파트너업체에 모델 3 EPB(전자 파킹 브레이크) 모터를 납품하는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기존 모델에도 이미 계양전기의 해당 모터가 일부 들어가 있다.
계양전기는 현재 현대, 기아차는 물론 BMW, 벤츠, 마세라티 등에 파워 시트 모터와 EPB 모터를 납품하고 있다.
영화금속
지난 2016년 모델 3 대상으로 하우징, 디퍼렌셜 등의 조향장치를 공급했다. 2019년 3월까지 91억원의 규모의 부품을 납품한 이력이 있다. 그 이후의 소식은 보도되지 않고 있다.
아모그린텍
테슬라에 수년간 에너지저장장치(ESS) 파월 모듈에 사용되는 고효율 자성 소재를 공급하고 있다. 현대차, 테슬라는 물론 리비안에게 공급한다.
디아이씨
2020년 말 디아이씨는 감속기 기어 및 샤프트 관련 부품을 약 20만개 납품한 이력이 있다. 이후 공급 소식은 보도되지 않는다.
KEC
2020년 차량용 반도체 부품을 공급한 이력이 있다. 당시 터치스크린 LCD의 과전압 보호, 과전류 보호 역할을 하는 반도체였다.
화신
화신은 테슬라 모델 X와 모델 S에 페달 부품을 납품하고 있다. 또 모델 3의 차체를 묶는데 쓰이는 모터 브래킷도 공급한다.
우리산업
우리산업은 초기 모델부터 수년간 전기차 고전압 PTC 히터를 공급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 현대차, 기아차 협력 차원에서 세운 미국 조지아공장을 2023년 말 조기가동하며 테슬라, 루시드 공급도 추진 중이다.
하나기술
2020년 테슬라 프리몬트 공장(캘리포니아)에 배터리 장비를 공급한 것으로 보도된다. 조립 공정 장비 전문업체이다.
대보마그네틱
2020년 테슬라에 탈철기를 공급한 이력이 있다고 보도된다. 탈철기는 양국재에서 철을 포함한 각종 비철금속을 제거할 때 쓰인다.
다음은 하나기술, 대보마그네틱과 테슬라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보도이다. 전기, 전자 전문 매체 ELEC 기사이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9714
스마트레이더시스템
테슬라에 자율주행 센싱 시스템을 제공한 이력이 있다고 알려진 회사이다. 그러나 그 증거는 찾을 수 없다. 2024년 5월 29일 이투데이와 회사 대표의 인터뷰에도 다른 회사 이름은 나오지만 테슬라는 나오지 않는다. 아무튼 테슬라의 자율 주행 뉴스가 나오면 반응하는 자율주행 관련주이기도 하다.
핸즈코퍼레이션-테슬라 관련주 무관
알루미늄 휠 전문 생산업체이다. 2020년 말과 2021년 초기 테슬라에 알루미늄 휠 공급계약이 임박했다고 수많은 매체에 보도됐으나 흐지부지됐다.
테슬라 수혜주
테슬라 수혜주는 테슬라에 직접적으로 납품하거나 사업관계는 없는 회사이지만, 대부분 테슬라의 자율주행 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주식들이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서는 이들을 테슬라 수혜주라고 부른다.
라이콤
자율주행에 필요한 라이다의 핵심 부품인 광증폭기를 국내 최초로 개발해 국산화에 성공한 기업이다. 광증폭기는 레이버 빛을 증폭시켜 더욱 멀리 뻗어나가게 하는 기기이다.
폴라리스오피스
지난 2023년 10월 26일 폴라리스오피스는 이런 보도자료를 냈다. 폴라리스 오피스 웹에 차량 모드 기능을 추가했는데, 모델S에 먼저 제공하며 적용 모델을 늘려간다고 밝혔다.
이것은 테슬라에 납품하는 것이 아니라, 테슬라 차안에서도 오피스 제품을 쓸 수 있게 한다는 의미로 보인다.
결론
세계적으로 전기차 수요가 많이 떨어지고, 테슬라가 세계 1위 전기차 업체라고 해도 차량 판매대수가 기존 전통 개솔린 차를 압도하는 것도 아니어서 이제는 테슬라 관련주의 위상이 많이 떨어진 듯하다. 그런 점에서는 오히려 테슬라로부터 주기적으로 뉴스가 나오는 자율주행 관련주가 테슬라 관련주로서 더 큰 관련성이 있는 듯하다.
밑에 자율주행 관련주를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