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는 주식 시장에서 흔하게 명멸한다. 수많은 테마 가운데 8월 초부터 주식시장을 뜨겁게 달군 급등주가 많이 포진해 있는 테마주, 그가운데서 테마 대장주들을 알아보기로 한다. 종목 소개는 생략한다. 대신 관련주 링크를 달아놓겠다.
테마주-배터리 폭발 방지 관련주
배터리 폭발 방지 관련주 테마는 2024년 8월 12일 증시에 강하게 불어닥쳤다. 이닉스, 삼기이브이, 그리드위즈 등이 상한가를 치며 대장주로 나섰다. 급등주들은 8월 6일부터 오르기 시작했다.
물론 8월 5일 한국 증시 대폭락 이후 반등이어서 구분이 가지 않을 수도 있다. 아무튼 12일부터는 큰 상승세를 탔고 잠잠해졌다가 추석 연휴 직전 주 후반부터 재반등을 시작하는 분위기이다.
아래 표는 PC 화면으로 보셔야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모바일로 보면 의미없이 안 예쁘게 나열된 숫자일 뿐이다.
종목 | 22년 종가 | 23년 종가 | 24/8/5 종가 | 8/12상승률 | 24/8/12 종가 | 8월 최고가 | 추석전 종가 | 23년 상승률 | 24년 상승률 | 24/8/5~ 상승률 | 8월 최고대비 괴리 |
이닉스@ | – | 14,000 | 9,270 | 30.00% | 14,950 | 20,000 | 13,270 | – | -5.21% | 43.15% | -33.65% |
삼기이브이 | – | 2,890 | 1,693 | 29.92% | 2,475 | 2,775 | 2,230 | – | -22.84% | 31.72% | -19.64% |
그리드위즈@ | – | 40,000 | 20,100 | 29.86% | 28,700 | 37,500 | 25,000 | – | -37.50% | 24.38% | -33.33% |
민테크@ | – | 10,500 | 6,180 | 27.70% | 9,450 | 10,430 | 7,470 | – | -28.86% | 20.87% | -28.38% |
한빛레이저# | – | 4,870 | 3,340 | 24.62% | 4,555 | 7,000 | 5,250 | – | 7.80% | 57.19% | -25.00% |
신진에스엠 | 2,655 | 2,845 | 2,200 | 17.00% | 2,890 | 3,755 | 2,480 | 7.16% | -12.83% | 12.73% | -33.95% |
나노팀 | – | 15,490 | 7,920 | 16.36% | 14,010 | 15,200 | 10,750 | – | -30.60% | 35.73% | -29.28% |
에이치시티 | 7,863 | 8,510 | 8,550 | 9.69% | 10,640 | 10,730 | 10,300 | 8.23% | 21.03% | 20.47% | -4.01% |
파라텍 | 1,978 | 3,693 | 1,689 | 9.18% | 2,070 | 2,585 | 1,859 | 86.70% | -49.66% | 10.07% | -28.09% |
이엔플러스 | 4,725 | 3,875 | 1,664 | 6.99% | 1,960 | 2,165 | 1,670 | -17.99% | -56.90% | 0.36% | -22.86% |
한중엔시에스 | 10,200 | 17,990 | 36,800 | 6.86% | 47,500 | 50,900 | 44,600 | 76.37% | 147.92% | 21.20% | -12.38% |
알티캐스트 | 1,760 | 1,122 | 717 | 2.41% | 806 | 1,475 | 1,030 | -36.25% | -8.20% | 43.65% | -30.17% |
배터리 폭발 방지 테마주들은 지난 8월 정점에 도달한 뒤 9월 휴식을 취하다가 2~3일 전부터 반등을 꾀하고 있다.
위에 나열된 12종목 가운데 그리드위즈와 한중엔시에스는 다른 작전이 이미 걸려 움직이던 중에 이 테마와 조우했다. 이 때문에 이 테마의 정확한 기여도는 측정되지 않는다. 한중엔시에스는 7월에 61,800원으로 정점에 도달했기에 저기에 나온 8월 최고가 대비 괴리율 -12.38%는 의미가 없다.
순수 배터리 폭발 테마주 가운데 지난 8월 12일 보다 주가가 올라 있는 종목은 2종목 뿐이다. 한빛레이저와 알티캐스트이다. 두 종목의 흐름을 잘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최고가 대비 괴리율이 컸다가 적어지고 있는 삼기이브이, 민테크, 이닉스 등 대장주들도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둬야 한다.
이 종목들이 이 테마주 편입이유가 궁금하면 밑의 링크에 들어오시면 된다.
안티몬 관련주, 나트륨 배터리 이온 관련주
이 두 테마주들은 역시나 크게 뜨지는 못했다. 그 당시 코로나 재유행 관련주, 전고체 배터리 관련주 등으로 매기가 쏠리면서 잠시만 올랐다.
따라서 이 종목은 업데이트하지 않고 예전 링크만 소개하는 것으로 가름한다.
양자컴퓨터 관련주, 딥페이크 보안 관련주
지난 8월 23일 소개해드린 양자컴퓨터 관련주, 양자암호 관련주의 움직임은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라는 호재 덕분이었다. 그러나 흥행이 긴 테마주는 아니었다. 8월 27일 딥페이크 보안 관련주가 정부에서 미는 바람에 양자컴퓨터는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났다.
대신 딥페이크는 관에서 밀어주는 테마라서, 그리고 인터넷 검열에 유리한 정부의 테마라서 은근히 군불을 떼면서 딥페이크 보안 관련주가 아닌, 그냥 IT 보안 관련주로 매기가 확산되며 게릴라 식으로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당시 뜨겁게 올랐던 딥페이크 보안 관련주의 선도 대장주와 후발 급등주 등을 소개하며 주가상승률을 비교하겠다.
사실 국내 IT 보안 관련주들은 모두 ‘참전’한 테마였다. 그동안 세력이 머물던 종목은 모두 ‘한탕’씩 해먹었다.
8월 27일 증시를 강타한 테마였기에 8월 26일 종가 주가와 추석 전 종가를 비교해보겠다. 27일 5종목이나 상한가로 치솟았던, 급등주가 많았던 테마였다.
관에서 미는 테마는 비교적 오래갈 수 있다. 뉴스가 계속 나오기 때문이다. 윤 정부는 어차피 인터넷 검열을 하고 싶어하기 때문에 딥페이크를 꺼내들었다는 게 나의 ‘뇌피셜’이다. 순수성이 없는 만큼 계속 뉴스로 딥페이크의 폐해를 강조할 것이다는 게 나의 추측이다. 쉽게 볼 테마가 아니다.
지난 1개월(20거래일)의 주요 급등주의 주가상승률이다. 이 종목들은 증권플러스에서 분류한 딥페이크 관련주이다.
- 한싹 43.05%(최근 5거래일 -1.68%, 직전 일 -4.88%)
- 샌즈랩 35.01%(최근 5거래일 3.37%, 직전 일 0.82%)
- 모니터랩 30.37%(최근 5거래일 -7.66%, 직전 일 6.84%)
- 아이씨티케이 28.82%(최근 5거래일 -18.13%, 직전 일 -5.35%)
- 한빛소프트 18.35%(최근 5거래일 0.06%, 직전 일 -1.05%)
- 플랜티넷 9.33%(최근 5거래일 -15.68%, 직전 일 -4.99%)
- 라온시큐어 5.02%
- 싸이버원 2.16%(최근 5거래일 3.37%)
- 이스트소프트 1.60%
- 케이사인 0.50%
- 에스피소프트 0.24%
- 디지캡 -8.66%
- 알체라 -9.40%
- 파수 -12.10%
- 씨유박스 -16.42%
- 크라우드웍스 -23.31%(최근 5거래일 -9.96%, 직전 일 -6.36%)
- M83 (5거래일 3.29%)
한때 급등주였던 이들 테마주에 대한 편입 사유는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율주행 관련주
지난 9월 6일 오전 장을 지배하다가 상승폭을 반납한 급등주로 이뤄진 테마이다. 몇번 말하지만 자율주행 관련주 가운데 차량 블랙박스(네비게이션0, ADAA 등 운전 보조장치 등은 자율주행이라고 보기에는 너무 낮은 수준인데, 우리나라 증시에서는 반응을 한다. 물론 주가가 오르는 주식이 최고라는 점에서 반대는 없다. 그냥 그렇다는 말을 하고 싶은 것 뿐이다.
자율주행은 미국 목요일 테슬라가 뜨자, 한국 금요일에 테마주로 떠올랐고, 토요일 새벽 테슬라가 폭락하자, 한국에서는 월요일부터 게릴라 식으로 개별주로 활동했다.
퓨런티어, 스마트레이더시스템 등이 현재 대장주이다. 에스오에스랩, MDS테크 등도 그래프를 만들어가고 있다. 언제든 뉴스만 나오면 다시 솟구칠 정도로 수급은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 지켜봐야 하는 이유이다.
종목 | 9월 6일 주가변동률 | 9/5일 종가 | 9/6일 종가 | 추석 전 종가 | 9/5일~상승률 |
퓨런티어 | 23.35%(3.05% : 상한) | 14,430 | 17,800 | 19,300 | 33.75% |
(H)라닉스 | 5.60%(4.10% : 29.78%) | 3,660 | 3,865 | 3,800 | 3.83% |
스마트레이더시스템 | 5.43%(0.8% : 28.15%) | 6,820 | 7,190 | 8,440 | 23.75% |
캠시스 | 4.02%(-1.86% : 19.14%) | 1,019 | 1,093 | 1,071 | 5.10% |
넥스트칩 | 2.58%(0.00% : 18.89%) | 7,360 | 7,550 | 7,730 | 5.03% |
(H)팅크웨어 | 1.90%(-0.63% : 7.13%) | 11,080 | 11,290 | 11,930 | 7.67% |
엘엠에스 | 1.11%(0.47% : 1.58%) | 6,330 | 6,400 | 6,330 | 0.00% |
오비고 | 0.98%(0.81% : 7.17%) | 6,140 | 6,200 | 6,140 | 0.00% |
인포뱅크 | 0.72%(1.14% : 19.89%) | 6,990 | 7,040 | 6,440 | -7.87% |
(H)HL만도 | 0.16%(0.00% : 0.78%) | 32,050 | 32,100 | 33,000 | 2.96% |
앤씨앤 | -0.09%(-1.02% : -1.30%) | 1,075 | 1,074 | 1,139 | 5.95% |
모바일어플라이언스 | -1.08%(2.58% : 10.54%) | 2,325 | 2,300 | 2,490 | 7.10% |
(H)현대오토에버 | -1.42%(1.22% : 3.99%) | 155,200 | 153,000 | 160,300 | 3.29% |
유니트론텍 | -1.87%(0.79% : 6.11%) | 5,070 | 4,975 | 5,350 | 5.52% |
나무가 | -2.21%(1.42% : 3.08%) | 12,670 | 12,390 | 13,100 | 3.39% |
칩스앤미디어 | -2.31%(-0.86% : 3.39%) | 13,880 | 13,560 | 13,450 | -3.10% |
DH오토웨어 | -2.52%(0.84% : 0.84%) | 238 | 232 | 231 | -2.94% |
텔레칩스 | -2.84%(-0.38% : 5.67%) | 13,040 | 12,670 | 12,830 | -1.61% |
(H)모트렉스 | -3.05%(6.00% : 9.95%) | 11,160 | 10,820 | 11,000 | -1.43% |
MDS테크 | -3.80%(-0.93% : 0.46%) | 1,078 | 1,037 | 1,148 | 6.49% |
(H)에스오에스랩 | -4.86%(-1.13% : 0.72%) | 7,820 | 7,440 | 7,420 | -5.12% |
(H)라이콤 | -7.87%(6.92% : 14.38%) | 3,685 | 3,395 | 3,520 | -4.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