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주들이 늘어나고 있다. 영일만 석유 테마로 인해 테마주가 양산되고 있는 가운데 화장품 섹터 등 기존 강세를 띠던 곳에서 대박주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테마주 아닌 개별 대박주들의 경우 상승 이유를 찾아보기로 하자. 이미 늦었지만, 2차 상승이나, 훗날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대박주 주가상승률과 코스피, 코스닥 지수 상승률
대박주는 밑에서 보다 시피 월간 상승률(20거래일 기준)과 주가 상승률(5거래일 기준)로 볼 때 100%가 상회하는 경우가 잦다. 이번 주, 이번 달도 그랬다.
24/5/16 종가 | 24/6/7 종가 | 24/6/14 종가 | 1달 상승률 | 1주 상승률 | |
코스피 | 2753.00 | 2722.67 | 2758.42 | 0.20% | 1.31% |
코스닥 | 870.37 | 866.18 | 862.19 | -0.94% | -0.46% |
코스피 대박주, 1개월(20거래일) 1주일(5거래일) 상승률 대박주, 대박 테마주 또는 상승 이유
코스피 종목 | 월간 상승률 | 테마주 또는 이유 | 코스피 종목 | 주간 상승률 | 테마주 또는 이유 |
백광산업 | 128.92% | 별도 설명 ✅ | 코오롱글로벌우 | 107.97% | 별도 설명 ✅ |
코오롱글로벌우 | 127.59% | 별도 설명 ✅ | 해태제과식품 | 54.65% | 식품 테마 |
한성기업 | 102.80% | 식품 테마 | 사조대림 | 45.45% | 식품 테마 |
삼양식품 | 88.36% | 식품 테마 | 포스코인터내셔널 | 43.34% | 석유 테마 |
플레이그램 | 80.83% | 이유 모름 ✅ | 한전산업 | 41.05% | 별도 설명 ✅ |
한국가스공사 | 79.24% | 석유 테마 | 사조산업 | 35.98% | 식품 테마 |
SKC | 76.42% | 유리기판 테마 | 한국가스공사 | 35.60% | 석유 테마 |
CJ씨푸드 | 76.04% | 식품 테마 | 사조씨푸드 | 32.39% | 식품 테마 |
토니모리 | 72.72% | 화장품 테마 | SKC | 30.90% | 유리기판 테마 |
해태제과식품 | 71.14% | 식품 테마 | 토니모리 | 30.72% | 화장품 테마 |
한전산업 | 67.50% | 별도 설명 ✅ | 사조오양 | 30.63% | 식품 테마 |
한국화장품제조 | 61.31% | 화장품 테마 | 크라운해태홀딩스 | 29.82% | 식품 테마 |
사조씨푸드 | 54.76% | 식품 테마 | KIB플러그에너지 | 29.78% | 별도 설명 ✅ |
포스코인터내셔널 | 47.36% | 석유 테마 | CJ씨푸드 | 28.72% | 식품 테마 |
코오롱글로벌 | 45.41% | 별도 설명 ✅ | 크라운제과 | 28.70% | 식품 테마 |
✅백광산업 : 2차전지 전해액 핵심소재인 육불화인산리튬(LiPF6)를 만들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원재료인 PCI3(삼염화인)과 PCI5(오염화인)를 연간 1만 5000톤 규모로 생산하기 위해 새만금 공장을 올해 초부터 짓고 있다. 내년 1분기 완공 목표이다.
✅코오롱글로벌우, 코오롱글로벌 : 영일만 석유 시추에 대비해 영일만 항만을 확장한다는 소식에 포항영일신항만 주주(지분 15.34%)인 코오롱글로벌 주가가 강세.
DL은 지분 29.5%를 갖고 있으나 주가 움직임이 미약했다. DL은 지난주 -5.94%를 기록했다. 반면 건설이 주력인 DL이앤씨가 -0.72%로 내려갔으나 주중 한때 +13.34%까지 움직였다. 역시 코오롱글러벌 우선주처럼 DL이앤씨우도 지난주 장중 최대 25.14%까지 오르다가 +8.02%로 마감했다.
✅플레이그램 : 상승하는 이유가 파악이 되지 않음.
✅한전산업 : 전력 테마주 때 소외되면서 후발주로 서서히 오르다가 지난 10일 한국전력공사가 41조원 짜리 인도네시아 송전망 구축한다는 소식에 상한가를 치면서 강세를 띠고 있다.
✅KIB플러그에너지 : 최대주주가 변경된 것을 호재로 받아들이고 있다. 지난 6월 3일 공시를 통해 최대주주가 기존 KIB패밀리블라인드에서 새롭게 오픈아시아컴퍼니로 변경됐다.
코스닥 대박주, 1개월(20거래일) 1주일(5거래일) 상승률 대박주, 대박 테마주 또는 상승 이유
코스닥 종목 | 월간 상승률 | 테마주 또는 이유 | 코스닥 종목 | 주가 상승률 | 테마주 또는 이유 |
중앙첨단소재 | 225.08% | 별도 설명 | 에스앤디 | 58.82% | 식품 테마 |
우양 | 155.81% | 별도 설명 | 카티스 | 45.81% | 별도 설명 |
선진뷰티사이언스 | 114.91% | 화장품 테마 | 엔시스 | 45.66% | 별도 설명 |
태성 | 114.69% | 별도 설명 | CNH | 41.86% | 별도 설명 |
에스앤디 | 83.09% | 식품 테마 | 풍원정밀 | 41.62% | 별도 설명 |
피엔티 | 79.37% | 별도 설명 | 제룡산업 | 40.42% | 전력 테마 |
실리콘투 | 77.16% | 화장품 테마 | 삐아 | 39.42% | 화장품 테마 |
삼영에스앤씨 | 75.51% | 별도 설명 | 스캔앤스킨 | 38.48% | 화장품 테마 |
카페24 | 73.87% | 별도 설명 | 덕산테코피아 | 28.26% | 전고체 테마 |
헝셩그룹 | 64.56% | 중국 상장주 테마 | 중앙첨단소재 | 35.05% | 별도 설명 |
화성밸브 | 63.08% | 석유 테마 | 국순당 | 32.65% | 식품 테마 |
코스메카코리아 | 62.96% | 화장품 테마 | 강원에너지 | 31.29% | 전고체 테마 |
엔시스 | 60.64% | 별도 설명 | 태성 | 29.67% | 별도 설명 |
잉글우드랩 | 59.59% | 화장품 테마 | 셀루메드 | 29.37% | 별도 설명 |
바이오다인 | 58.95% | 별도 설명 | 흥국에프엔비 | 27.66% | 식품 테마 |
✅중앙첨단소재 : 지난 2023년 5월 엔켐과 리튬염 사업을 하기 위해 합작법인 이디엘을 설립한 게 주가 상승의 기폭제가 됐다. 2023년 8월 말에는 회사명도 중앙디앤엠에서 중앙첨단소재로 바꿨다.
2022년 10월 주가 392원에서 현재 14,450원이다.
✅우양 : 7월부터 미국 대형마트에 냉동김밥을 납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식품 테마이다.
✅태성 : PCB 제조 공정 자동화 회사이다. 여기에 복합동박 설비 수혜주로 새롭게 꼽혀 폭등하고 있다. 대당 50억원을 호가한다. 2차전지 제조공정에서 복합동박을 쓸 경우 배터리 무게 절감, 이로 인하 주행거리 증가 등이 꼽히고 있다.
✅피엔티 : 2차전지 건식 공정 장비가 배터리 가격을 혁신적으로 줄여주는 장비로 평가받은데다, 대형 해외 고객사아 거래를 시작한 게 주가 상승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
✅삼영에스앤씨 : 유럽업체가 독점하던 정밀 습도측정기기인 노점계를 독자 개발해 국내 배터리 제조사에 공급했다는 뉴스를 지난 5월 1일 내보냈다. 5월 9, 10일 상한가를 시작으로 폭등했다.
✅카페24 : 구글과 유튜브 코머스 사업에 대한 기대감 때문에 오르고 있다. 지난해 12월 구글이 카페24의 3자배정 유상증자에 참여(260억원, 주당 14,800원, 7.24%)하면서 그 당시에 34,350원까지 크게 오른 뒤 주가가 하락했다.
그런 매집 과정을 거친 뒤 5월 7일 15,000원대부터 상승해 벌써 100% 이상 상승했다. 현재가 33,400원.
✅엔시스 : 2차전지 배터리 머신비전 검사 장비 메이커이다. 모든 공정에 필요한 검사 장비를 공급한다. 현재로선 폭등 재표는 노출되지 않았다. 2차전지 공정 장비 관련주 섹터가 강하긴 했다. 그 중에서도 선두주자이다.
✅바이오다인 : 액상세포검사(LBC) 진단기기 및 진단시약 키트 제조사이다. 로슈에게 2019년 기술이전을 했는데, 그 기술이 채택된 로슈의 자궁경부암 진단기기가 출시돼 계약 내용까지 공개돼 상승세를 타고 있다.
2039년까지 5년 마다 계약이 자동연장되는데, 내년부터 로열티 수입이 크게 늘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카티스 : 산업인프라 보안플랫폼 공급사업자이다. 2024년 5월 3일 상장된 새내기 주식이다. 기준가는 8000원이었는데, 첫날부터 -26.50%를 기록하며 5,880원에 신고했다. 상장 후 시세를 낸 적이 없기 때문에 저가를 이용한 투기적 머니 게임을 펼치는 세력이 들어온 것으로 보인다.
✅CNH : 자동차 렌타를 통한 여신전문 금융업 회사이다. 13일 공시에 의하면 최대주주가 바뀐다. 기존 그래닛홀딩스에서 블루문홀딩스로 넘어간다. 본계약은 10영업일 이내에 체결된다.
✅풍원정밀 : 회사는 스스로를 “박막 금속 가공기술의 세계 최강자”라고 설명한다. OLED 디스플레이 증착용부품인 FMM을 올해 하반기 양산하겠다는 소식에 시장이 반응하는 듯하다.
✅셀루메드 : 사업다각화를 위해 건설(비중 82%), 의료기기(13.4%)를 겸업한다. 바이오로직스 사업부문에서는 골형성 단백질과 같은 성장인자, 활액대체재를 제조 유통하는 일을 한다.
회사는 현재 신사업으로 전기 이륜차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륜차의 배터리 스와핑 시스템(BSS)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는 동시에 국가 표준 교체형 배터리팩을 생산하고, 이를 통신사, 운영사와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사업보고서에서 밝히고 있다.
그러나 파이낸셜 뉴스는 이 회사가 2차전지 교체형 배터리 플랫폼 사업을 국내 처음 시작한 업체라면서 정부, 현대차, LG엔솔의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 시장 참여 소식에 강세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셀루메드는 모터 사이클 등 이륜차가 대상이고, 저 뉴스는 4륜차 소식인 것으로 보이는데 말이다.
셀루메드의 강세 이유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듯 하다.